분류 전체보기
-
[암호학] Hill Cipher기타/기타 CS 지식 2021. 12. 31. 03:26
알파벳 A~Z로만 이루어진 글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암호 기술 (암호화 과정) 1. 보내고자 하는 알파벳을 0~25에 매칭 시켜 숫자로 변환 2. 만약 홀수개의 알파벳이라면 마지막에 'X' 추가 3. 미리 준비해둔 KEY 행렬로 계산하고 modulo 연산 진행 4. 결과 값을 다시 A~Z에 매칭 시켜 암호문 완성 (복호화 과정) 1. 해당 암호문을 다시 0~25에 매칭 시켜 숫자 행렬로 변환 2. 기존 KEY의 역행렬(mod 26)로 계산하고 modulo 연산 진행 3. 결과 값을 다시 A~Z에 매칭 시켜 복호문 완성 (예시) - 기존의 2x2 키 (25, 22, 1, 23) - JT 문자열을 암호화한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과정 - 최종적으로 te 암호문이 결과로 나옴 - 기존의 키의 역행렬(mod 26..
-
[Webhacking] old-6기술/webhacking.kr 2021. 12. 30. 03:57
클릭하여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할 수 있는 것이 소스코드 보는 것 밖에 없으니 view-source를 클릭하겠습니다. 먼저, solve 조건을 확인하면 decode를 진행한 id와 pw가 해당 값과 일치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쿠키 값에 id와 pw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기본 값을 설정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쿠키 값에 특정 값을 입력하여 푸는 문제임을 확인하였습니다. 1번은 입력한 쿠키 값을 Encrypt 하는 과정이고 2번의 경우 해당 값을 Decrypt 하는 과정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solve 조건의 id와 pw가 나오도록 encrypt된 값을 입력하면 되겠네요! import base64 id_bytes = 'admin' pw_bytes = 'nimda..
-
[보안뉴스] 메타버스·NFT 등 가상세계 플랫폼 확산과 보안위협리뷰/보안뉴스 2021. 12. 30. 00:36
[이미지=utoimage] (서론) 1. 비대면 시대 상징하는 주요 플랫폼으로 떠오른 메타버스 2. 메타버스와 NFT 플랫폼, 보안을 최우선 고려한 환경 구축 필요 3.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아우르는 확장현실(XR)이 보편화될 것으로 보임 4. 대체 불가능 토큰 (Non-Fungible Token, NFT) 기술 중요성 커짐 5. NFT는 소유권이 불확실한 디지털 파일/자산에 대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원작자/소유주 증명 기술 (본론) 1. 개인이 소유한 디지털 파일은 사용자의 실수로 원본 파일을 삭제하거나 해킹을 통한 변조 가능성 있음 2. 메타버스 내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이 커지면서 개인정보 관련 보안 위협 존재 3. 메타버스 플랫폼 자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각종 보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