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보안뉴스

[보안뉴스] KT 네트워크 사고 후속 대책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방안’ 나왔다

s-bot 2022. 1. 2. 02:27

이미지 = utoimage


<뉴스 내용 요약>

(서론)
1. KT 네트워크 사고 후속 대책으로 과기정통부에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방안' 발표
2. 최근 네트워크 장애가 내부적/외부적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
3. 체계적인 대응 강화 필요성이 높아짐
4.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중심의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 전담팀(TF) 구성 및 방안 마련
5. 안전한 네트워크 구현한다는 정책 목표하에 4대 과제로 구성

(본론)
1. 과제1 - 통신재난 예방/대응 강화
2. 과제2 -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 역량 강화
3. 과제3 - 네트워크 장애 복원력 제고
4. 과제4 - 네트워크 안정성 제고 제도 개선

(결론)
1. 과제1 방안 - 모의시험 체계, 중앙 시스템 통제, 이상 감지 대응 체계, 인공지능 대응 고도화, 디지털 트윈 시험망
2. 과제2 방안 - 코어 망 계층화, 가입자 망 라우팅 분리, 접속경로 이중화, 케이블 단선 대응, 정전 대비, 물리적 재난 대응
3. 과제3 방안 - 통신사 간 백업 체계, 재난 로밍, 재난 와이파이, 소상공인 백업
4. 과제4 방안 - 장애 고지, 제도 정비, 정보 공개

원문 :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mtype=3&tab_type=6&idx=103773

(소감)

1. 단순히 KT 사업자 내의 후속 조치가 아니라 국가 차원의 대응책인 것이 멋있음

2. Top-Down 방식의 문제 해결 방식 사례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됐음

3. Resilience 측면에서 통신사 간 백업 체계, 재난 와이파이 등이 인상 깊었음

4. 과제1 - '인공지능을 통해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는 기술' 자체에 호기심이 생김

 

(의문점)

Q1. 산학연 중심의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 전담팀(TF) 구성 기준

Q2. 해당 과제들이 잘 수행되는지 확인/검증하는 방법

Q3. 소상공인 및 사용자 측면에서 부담해야 하는 추가 비용

Q4. 각 과제 및 소분류 Task별 우선순위